안녕하세요 오늘은 JavaScript의 querySelector
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쿼리셀렉터란 DOM(Document Object Model)에서 특정 요소를 선택하는 강력하고 유연한 메서드입니다. 해당 메서드를 사용하면 CSS 선택자를 기반으로 원하는 요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querySelector
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실제 예시 코드를 통해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querySelector 기본 문법
querySelector
는 CSS 선택자를 사용하여 DOM에서 요소를 선택합니다. 간단한 예시로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일 요소 선택
const element = document.querySelector('.example');
위 코드와 같이 querySelctor를 사용해서 클래스가 "example"인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합니다. 클래스 이외에도 태그 이름, 아이디 등 다양한 선택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중 요소 선택
const elements = document.querySelectorAll('.example');
querySelectorAll
을 사용하면 선택자와 일치하는 모든 요소를 NodeList로 반환합니다.
CSS 선택자 활용 예시
CSS 선택자를 활용하면 다양한 조건에 맞게 요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 (id) 로 선택
const myElement = document.querySelector('#myId');
위 코드는 아이디가 "myId"인 요소를 선택합니다.
태그 이름으로 선택
const paragraphs = document.querySelectorAll('p');
이렇게 하면 모든 <p>
태그를 선택합니다.
자식 요소 선택
const parent = document.querySelector('.parent');
const child = parent.querySelector('.child');
부모 요소를 먼저 선택한 다음에 내부의 자식 요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동적인 상황에서의 활용
querySelector
는 동적인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 핸들러 내에서 특정 요소를 동적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벤트 핸들러 내에서 사용
document.getElementById('myButto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const selectedInput = document.querySelector('input:checked');
console.log(selectedInput.value);
});
위 코드는 버튼이 클릭되면 체크된(input:checked) 요소를 선택하여 그 값을 콘솔에 출력합니다.
querySelector
를 통해 CSS 선택자를 활용하면 JavaScript로 DOM을 더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 제 생각에 쿼리셀렉터는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는 메서드이기 때문에 유용한 메서드인 것 같습니다.. 예시 코드를 통해 각종 선택자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면, 웹 개발에서 DOM 조작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Optional Chaining 과 typeof 공부하기 (0) | 2024.01.26 |
---|---|
CSS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구현하기 (0) | 2024.01.20 |
웹퍼블리싱이 무엇일까 웹퍼블리셔가 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스터디 로드맵 (0) | 2024.01.19 |
React 에서 Tab Component 구현하기 상태 관리 방법 (0) | 2024.01.17 |
자바스크립트 Promise 객체 이용하여 비동기 작업하기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