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Spring 에서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우선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은 서블릿 컨테이너 없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뜻합니다. 이번에는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과 개발 시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 이해하기
서블릿 컨테이너 없이 실행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은 서블릿 컨테이너 없이 실행되며, 웹 서버에서 직접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서블릿 컨테이너의 설정이나 의존성 없이 간편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웹 서버와의 통합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은 웹 서버와의 통합이 쉽습니다. 일반적으로 JAR 파일로 패키징되며, 웹 서버의 특정 디렉토리에 배포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서블릿 클래스 작성
먼저 서블릿 클래스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 클래스는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 구현됩니다. 서블릿 클래스는 웹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메인 클래스 작성
다음으로 메인 클래스를 작성합니다. 이 클래스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진입점 역할을 합니다. 메인 클래스에서는 서블릿 클래스를 초기화하고 웹 서버를 시작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웹 서버 구성
웹 서버를 구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Spring Boot, Embedded Tomcat 등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내장 웹 서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
서블릿 클래스 작성 예제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html><body>");
out.println("<h1>Hello, Servlet!</h1>");
out.println("</body></html>");
}
}
다음과 같이 간단한 서블릿 클래스인 HelloServlet
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HelloServlet 클래스는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습니다. 이는 서블릿으로 동작하기 위한 기본 클래스이며, HTTP 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들을 제공합니다. doGet
메서드에서는 단순한 HTML 응답을 생성합니다. doGet 메서드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HTTP GET 요청을 처리합니다. 서블릿 컨테이너는 클라이언트의 GET 요청이 들어오면 이 메서드를 호출하여 처리합니다.
메인 클래스 작성 예제
import org.eclipse.jetty.server.Server;
import org.eclipse.jetty.servlet.ServletContextHandler;
import org.eclipse.jetty.servlet.ServletHol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erver server = new Server(8080);
ServletContextHandler context = new ServletContextHandler();
context.setContextPath("/");
server.setHandler(context);
context.addServlet(new ServletHolder(new HelloServlet()), "/*");
server.start();
server.join();
}
}
위 예제는 메인 클래스인 Main
을 작성한 것입니다. Server
와 ServletContextHandler
를 사용하여 웹 서버를 설정하고, HelloServlet
을 등록하여 서블릿을 실행합니다. Main 클래스는 애플리케이션의 진입점으로, 웹 서버를 설정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ServletContextHandler 객체를 생성하여 서블릿 컨텍스트를 설정합니다. 컨텍스트 경로는 "/"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루트 경로에 서블릿을 배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다음 addServlet() 메서드를 사용하여 HelloServlet을 서블릿 컨텍스트에 등록합니다.ServletHolder를 생성하여 HelloServlet 인스턴스를 등록하고, URL 패턴 "/*"을 지정하여 모든 요청을 해당 서블릿으로 보냅니다.
이처럼 독립실행형 서블릿 애플리케이션은 서블릿 컨테이너 없이도 간편하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서블릿 클래스와 메인 클래스를 작성하고 웹 서버를 구성하여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오늘 지식을 통해 개발 및 배포 과정에 대해서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다른 글도 한번 읽어봐주세요. 감사합니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개념과 사용방법 (0) | 2024.01.23 |
---|---|
[JAVA 문법] 자바 메서드 오버로딩 개념과 사용 방법 익히기 (0) | 2024.01.15 |
Spring ThreadLocal 이용해서 스레드별 데이터 저장하는 방법 (0) | 2024.01.12 |
웹서버란 무엇인가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 이해하기 (0) | 2024.01.09 |